본문 바로가기
유아(6~7세)

7세 독서수업 후기 - 생각키우기

by 푸른복숭아 2023. 12. 13.
728x90
반응형
SMALL

한우리 독서토론 논술 7세 프로그램은 마지막 4차시에 필독서로 수업을 하지 않습니다.

[생각키움방]이라는 차시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시기에 맞는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다양하게 생각해보는 수업을 합니다. 

 

12월 생각키움방의 주제는 겨울이군요.  겨울의 계절적 특징 뿐만 아니라 나아가 겨울이 되면 어린이가 주변에서 관찰 할 수 있는 겨울의 생활과 변화를 중심으로 다양한 주체들의 겨울나기 방법을 알아보는 수업입니다. 

 

 

 먼저 겨울이 되어 나타나는 자연의 변화를 알아봅니다.  동식물이 겨울을 나는 방법과 관련된 낱말들도 살펴봅니다.

쌀쌀한 겨울 바람을 불기 시작하면 우리가 가장 먼저 발견 할 수 있는 것이 옷을 입은 나무들입니다. 이에 대해 까닭과 방법을 이야기 해보고 직접 나무에 옷을 입혀 보는 활동도 해봅니다. 

동물의 경우 철따라 이동하는 철새의 모습과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에 대해 이야기를 해봅니다. 겨울잠 자는 동물과 겨울잠 자지 않는 동물을 구분해서 빙고게임이나 퀴즈를 내는 확장활동을 해도 좋습니다. 

 

자연의 변화와 겨울나기를 살펴보았으니 이제 겨울의 생활 모습을 중심으로 사람들이 겨울나기 하는 방법을 살펴봅니다. 사람들 동물들보다  더 다양한 방법으로 겨울을 납니다. 추운 겨울을 따듯하네 보내기 위한 방법, 겨울에 먹을 양식을 미리 준비하는 방법 등 아이가 주변에서 경험했던 것들과 맞물려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좋습니다. 

 

겨울에 왜 우리는 솜이나 털이 빵빵하게 들어간 옷을 입을까? 만약 이런 옷을 입지 않으면 우리는 어떻게 될까? 솜옷이나 털옷 말고 우리를 따듯하게 해주는 도구들은 어떤 것이 있을까? 

 겨울에 김장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아이들의 다양한 의견을 귀담아 듣고 이후에 김치를 만들기 시작한 유래를 설명해 주도록 합니다. 

이 시기 아이들은 엉뚱하고 맥락없는 이야기를 많이 합니다. 하지만 수업의 목표에만 너무 치우치면 자칫 아이들이 자기 이야기를 하는 것을 꺼리게 되고 자신감이 없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들의 뚱딴지 같은 이야기도 수용해 주고 그 이후에 알맞은 대답을 알려주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어른이 들이 겨울이 되어 먹었던 맛있는 겨울간식에 대해 이야기해보고 경험을 이야기 하도록 합니다. 맛있는 붕어빵에 다양한 동식물과 사람들이 겨울을 나는 방법에 대해 적어보고 맛있게 보이도록 색칠도 해줍니다. 

 

예전에는 주변의 변화에 대해 그냥 지나쳤다면 한우리 독서수업의 겨울나기 생각키움방 수업을 통해 주변의 변화에 대해 알아차리고 왜 변화하는지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됩니다. 또 자연과 인간이 겨울을 나는 방법에 대해 자기 경험과 연결하여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

 

지금까지 7세 귀오미와의 한우리 독서토론 논술 수업이었습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