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 활동기 at home/논리적 글쓰기

논리적인 글 - 글의 구조 파악하며 읽기

by 푸른복숭아 2024. 3. 26.
728x90
반응형
SMALL
반응형

논리적으로 글을 읽고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에 걸친 훈련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여러 단계 가운데 '설득하는 글 - 논리적인 글'을 읽을 때 사용하면 좋은 방법에 대해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사진: Unsplash 의 Gaelle Marcel

 

<준비단계: 글의 핵심을 알기 위해서는 우선 전체 글을 핵심을 받치는 '뼈대'를 골라내고 연관성을 파악해야 합니다. >

 

그렇다면 글의 뼈대는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을까요?  글의 종류에 따라 나뉩니다.

소설같은 스토리있는 글: 인물과 사건
설명문: 대상에 대한 핵심적인 설명
설득하는 글: 문제-주장-근거--------------<논증: 주장-근거>분석

 

이번 포스팅은 논리적인 글, 설득하는 글을 읽는 방법에 대한 것이므로 설득하는 글을 중심으로 논리적 글읽기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설득하는 글'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주장과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 즉, 논증을 찾아내어 정리해야만 한다. 또 글 전체의 구조를 한눈에 파악하는 방법에서 가장 좋은 방법은 아래 세가지 요인이다. 이 세가지를 파악한다면 전체 글의 구조가 드러난다. 

  • 주제어 찾기
  • 단락별 주요내용 요약하기
  • 중심주장과 부수적인 주장을 따져 보기

실제로 글을 읽고 글의 구조 파악하기를 앞서 말한대로 연습해보겠습니다. 

아래 글을 여성혐오에 대한 글입니다. 

1. 주제어 파악하기-------> 이 지문의 3개의 단락은 모두 '여성혐오'를 주제어로 하고 있습니다. 

2. 단락별 핵심 내용 및 주장 파악하기 ------> 단락1은 두 개의 주장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① 모든 사람이 성별이원적 젠더 질서 속에서는 여성혐오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②여성혐오는 남녀에게 다른 방식으로 작용한다. 

 

3. 여러개의 주장이 있다면 이 가운데 중심주장을 찾습니다. ------> 첫번째 주장은 성별이원적 젠더 질서가 '모든 사람'에게 내재되었다는 좀 더 보편적인 주장인 반면, 두번째 주장은 이런 질서가 '남녀'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 부연 설명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첫번째 주장이 중심 주장임을 알 수 있습니다. 

 

2-1. 단락별 핵심 내용 및 주장 파악하기 ------> 단락2은 호모소셜에 대한 정의과 주장-근거로 이루어져 있다. 

   ① 호모소셜을 위해 남성들이 여성을 객체화하는 것은 여성혐오라고 한다.

   

2-2. 단락별 핵심 내용 및 주장 파악하기 ------> 단락3은 하나의 주장과 근거로 이루어져있다. 

   ① 딸은 자신을 증오하는 어머니로부터 여성혐오를 배운다.

 

이제 전체 글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주장들을 정리해보자. 

 ① 모든 사람이 성별이원적 젠더 질서 속에서는 여성혐오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중심주장)
 ② 호모소셜을 위해 남성들이 여성을 객체화하는 것은 여성혐오라고 한다.(주장)
 ③ 딸은 자신을 증오하는 어머니로부터 여성혐오를 배운다.(주장)

 

☞ 여기서 두번째 주장과 세번째 주장은 첫번째 주장을 성별에 따라 구분하여 구체화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 전체의 중심주장은 첫번째 주장이다. 

 

이렇게 글의 구조를 파악하며 읽는 훈련을 꾸준히 해보세요.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