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윤쌤의 역사교실/한국사

키워드로 공부하는 한국사2 - 기원전vs 기원후 feat.세기 세는 법

by 푸른복숭아 2023. 11. 7.
728x90
반응형
SMALL
반응형

역사공부의 바탕을 튼튼히 하는 키워드 공부 시간입니다. 

 

저 나름대로 장기적인 프로젝트로 생각하고 글을 쓰다 보니 아주 기초적인 용어부터 정리할 수 밖에 없네요. 따라서 다들 아는 내용이 많이 나옵니다. ^^

역사를 공부할 때는 인류가 등장한 시기부터 현대까지 매우 긴 시간의 기록을 접하게 되죠. 그렇다면 올해가 2023년이니까 우리 인류의 역사는 약 2000년 경 정도 된 걸까요?  당연히 아니겠죠~ 

우리나라 한반도 역사만해도 5천년이잖아요. 

그렇다고 -5000년 이런 식으로 역사를 표현하지는 않습니다. ㅎㅎ 

사실 우리가 지금 사용하는 2023년과 같은 날짜 세는 방법은 서양의 것을 들여온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서기'라고 하죠. 

서양에서 역사적으로 가장 중요한 사건은 '예수의 탄생'입니다. 그들은 예수 탄생을 원년(1년)으로 두고 날짜를 따집니다.  그 이전을 '기원전'이라고 하고, 그 이후를 '기원 후'라고 부릅니다. 다만 '기원 후'  보다는 '서기 ○ ○ ○년'을 더 일반적으로 사용합니다. 

 

그렇다면 BC와 AD는 또 뭘까요? 

'기원 전' 은 예수 탄생 이전 B.C를 말합니다. 즉 Before Christ를 줄여서 표현한 말입니다.
'기원 후'는 예술 탄생 이후 즉 Anno Domino(그리스도의 해)'라고 하고 AD로 줄여서 씁니다. 

 

참, 또 기억해야 할 것은 예수님이 태어난 해를 기준으로 그 이전의 해를 셀 떼는 거꾸로 거슬러 올라가야 합니다. 따라서 기원전 뒤에 따라오는 숫자가 작을 수록 현대와 가깝습니다. 기원후는 반대로 숫자가 클수록 현대와 가깝겠죠. 

 

그리고 아이들이 의외로 모르고 헛갈려 하는 부분이 세기를 이용해 년도를 표시하는 거에요.

긴 역사를 셀 때는 일일이 몇년 몇년 하지 않고 100년을 한 묶음으로 하여 연대를 셉니다. 1년부터 100년까지는 1세기, 101년부터 200년까지는 2세기라고 표현합니다. 영어로는 Century라고 쓰는데 1C, 2C, 3C라고도 표기할 수 있어요.  

따라서 AD 95년은 1세기에 속합니다. 하지만 AD120년은 2세기에 속합니다 따라서 120년의 백의 자리 숫자가 1이라고 해서 1세기라고 하면 안됩니다. 

 

차근차근 용어 익혀가면서 재미있게 역사공부 해봐요!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