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즘 나는/이런 것 봤어

총선 최대 변수 '무당파' 분석 - 시사IN 신년호 커버스토리

by 푸른복숭아 2024. 1. 2.
728x90
반응형
SMALL

시사주간지 시사IN에서 2024년을 맞이해 유권자 지형 분석 웹조사를 실시했다. 유권자 지형 분석 시리즈의 첫번째 대상은 양당 모두에 비호감을 표시한 '무당파'이다.
 
2024년 4월10일 총선이 치러진다. 국민의힘이 실패할 경우 윤석렬 대통령의 남은 임기는 ‘식물 정권’이 된다는 말을 공공연히 한다. 더불어민주당 입장에서는 여당이 과반을 차지할 경우 윤석열 정부는 폭주할 것이기에 이를 견제해야 한다는 논리로 맞선다. 

유권자의 마음을 읽는 가늠자는 여론조사다. 대개 여론조사의 숫자가 가리키는 방향은 ‘정권 심판론’이 우세다. 이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부정 평가 때문이다. 현재로서는 반등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이대로라면 일각의 주장처럼 ‘야권 200석’까지도 가능할까?

관건은 ‘무당파’다. 선거가 석 달 앞으로 다가왔지만, 여전히 유권자 3~4명 중 한 명은 지지 정당이 없다고 밝히고 있다. 한 표 차이로도 승부가 갈리는 현행 선거제에서 결코 가볍게 볼 수 없는 표심이다. 무당파는 정치와 선거에 관심이 있을까. 있다면 현재 국민의힘과 민주당, 각 정치인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을까. 또 무당파를 하나의 그룹으로만 볼 수 있을까? ‘정권 견제냐, 지원이냐’ ‘차기 대선주자 선호’ 등 몇 가지 질문으로는 유권자의 다면적 속내를 파악하기 힘들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윤석열 평가 따라 나뉘는 한동훈 호감도 [2024 총선 유권자 지형 분석 ①] - 시사IN

‘국민의힘도 싫고, 더불어민주당(민주당)도 싫다.’ 유권자 두 명 중 한 명은 이렇게 토로할 가능성이 크다. 〈시사IN〉이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2024 총선 유권자 지형 분석’ 웹조사

www.sisain.co.kr

 

 

스윙보터가 다 같지 않다 [2024 총선 유권자 지형 분석 ①] - 시사IN

2016년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 승리\'를 가져다준 정책은 뭘까? 미국에서는 반이민 정책이 주로 꼽힌다. 반이민 정책만큼 중요 정책이 있는데, 많은 이들이 잘 기억하지 못한다. 미국의 대표 복지

www.sisain.co.kr

 


 

 〈시사IN〉이 총선을 앞둔 새해를 맞이해 ‘2024 총선 유권자 지형 분석’을 실시한 이유다. 2023년 12월7일부터 12월12일까지 한국리서치가 보유한 웹조사용 패널 89만명 가운데 지역·성·연령별 기준에 맞춰 응답을 요청했고 2000명이 설문을 완료했다. 

이번 조사의 핵심 목표는 유권자 지형 분석이다. 각기 다른 유권자 그룹별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했다. 이를 위해 유권자 지형을 나누는 기준을 각 정당 ‘호감도’로 삼았다. 다가오는 총선은 ‘비호감 대결’이라고 평가받은 지난 대선의 연장전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국민의힘과 민주당에 대한 호감도를 네 단계로 나눠 물었다(지난 3개월 동안 5% 지지가 넘는 정당만 포함).
이번 조사에서는 양당 모두에 비호감이라고 응답한 층(48%)을 ‘무당파’로 명명했다. 성별이나 지역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다. 연령별로 20대(62%), 30대(61%)가 많았다. 이들이 누구인지 한 발짝 더 들어갔다. 전반적 특성, 주요 정치인에 대한 감정온도 그리고 그룹별 분류로 살폈다.

선거에 관한 정치권의 흔한 속설 중 하나가 ‘무당파는 투표를 잘 안 한다’이다.  그래서 무당파의 2024년 총선 투표 의향부터 살폈다. <그림1>참조

 

<그림1>

 투표 의향이 ‘있다’ 73%, ‘없다 15%다. 다만 2024년 총선에서 어느 쪽에 표를 던질지는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56%). 국민의힘(10%), 민주당(8%)에 표를 주겠다고 마음을 정한 사람은 적은 편이다. 그만큼 표심이 움직일 여지가 크다. 모든 당이 공략해야 할 대상이 무당파다.



한 덩어리로 본 무당파는 쉽게 어느 당 성향이라고 보기 어렵다. 현안에 대한 무당파의 생각을 보자. 윤석열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에 대해 물었다. ‘거대 야당의 독주를 막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다’는 주장에 28%만 동의했다. ‘잦은 거부권 행사로 야당과의 협치를 막는다’(43%)는 데에 대한 동의가 더 많다. 야당의 주장에 가까운 의견이다. 민주당이 집중하는 검찰개혁 이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우리 사회 개혁을 위해 필요한 주장이다’(42%)가 ‘윤석열 정부를 반대하기 위한 주장이다’(32%)보다 많았다.

 

 

무당파는 그럼 친민주당 성향일까? 그렇지도 않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에 대한 검찰 수사가 과도하다’는 주장에 동의하지 않은 이들(44%)이 동의한다는 이들(37%)보다 많다. ‘여성가족부 폐지’에 대한 의견도 여당에 가까웠다. 원자력 발전(원전)에 부정적인 야당의 주장과도 거리가 있다. 지금보다 늘려야 한다 26%, 지금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 38%, 지금보다 줄여야 한다 18%다. 무당파의 지난 대선 투표 행태만 봐도 그렇다.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를 찍었다는 사람(33%)이 이재명 민주당 후보를 찍었다는 사람(26%)보다 많다. 고정된 표심이 아니라, 왔다 갔다 하는 스윙보터(swing voter)다.




그런 그들이 윤석열 정부를 겪으면서 정부·여당에 대한 부정 평가가 늘었다.〈그림 2〉 참조

<그림2>

 처음에는 긍정 평가를 했지만 현재는 부정 평가(28%)를 보이며, 윤석열 정부가 무능(61%)하다고 생각한다. 지난 1년간 한국 경제 상황이 나빠졌고(74%), 앞으로 1년간 한국 경제 상황이 나빠질 것(55%)이라고 전망한다. 그래서 ‘총선에서 윤석열 정부와 국민의힘을 심판해야 한다’는 주장에 49%가 공감한다. 정권 심판론이 무당파에게도 퍼져 있고 구도는 야당에 유리하다.

그런데 민주당에게 마냥 유리한 상황은 아니다. ‘총선에서 야당인 민주당을 심판해야 한다’는 문항에 대해서도 무당파 50%가 공감했다. 〈그림 3〉 참조

<그림3>

 

 여당도 심판하고 야당도 심판해야 한다는 대목은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이같은 결과는 양당에 대한 불만을 모두 반영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를 심판해야 하지만, 그 도구가 민주당인지는 의심하고 있다. 그래서 ‘앞으로 절대 지지할 의사가 없는 정당’을 골라달라고 했다. 무당파 26%는 국민의힘을 골랐지만, 21%는 민주당을 택했다.



이를 두고 흔한 표현으로 ‘정치 혐오’라고 단언하기 어렵다. 앞서 언급했듯 무당파는 선거 참여 의지가 있다. 현재 양당이 보여주는 행태에 대한 평가가 반영된 결과라고 봐야 한다. 국민의힘과 민주당의 역량, 도덕성, 이념, 이미지 등을 물었다. 〈그림 4〉참조

<그림4>

 

 

두 정당 모두 국정 운영 능력과 도덕성은 낙제점이었다. 유능하다는 평가가 국민의힘과 민주당 모두 4%에 불과했다. 도덕성 평가에서 무당파 3%만이 ‘국민의힘의 도덕성이 충분하다’고 답했다. 민주당도 마찬가지다. ‘민주당의 도덕성이 충분하다’는 응답은 2%였다. 

정당에 대한 인식도 물었다. ‘실망감을 준다’ 국민의힘 75%, 민주당 71%였다. ‘기득권 세력이다’ 국민의힘 69%, 민주당 60%였다. 민주당으로서는 특히 아픈 부분이다. 자신을 기득권 ‘저항세력’ 혹은 ‘도전자’로 규정하는 민주당 정치인이 꽤 된다. 그들이 그리는 '기득권에 맞서고 저항하는 민주당'의 이미지가 적어도 무당파에게는 잘 통하지 않는다. ‘잘못을 반성하지 않는다’ 국민의힘 66%, 민주당 63%다. ‘당내 다양한 의견을 인정하지 않는다’ 국민의힘 62%, 민주당 58%다. 국민의힘은 친윤(친윤석열)과 비윤 갈등이, 민주당은 친명(친이재명)과 비명 갈등이 계속되고 있다. 심지어 ‘강성 지지층의 영향력이 크다’에 대한 응답은 민주당(62%)이 국민의힘(58%)을 앞섰다. 이재명 대표의 강성 팬덤은 현재 민주당 내 갈등의 주요 소재다.

시선은 제3지대로 향한다. 이미 금태섭 전 의원과 류호정 정의당 의원 등은 ‘새로운 선택’이라는 제3당을 창당했다. 2023년 12월17일 창당대회에는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가 참석하고,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가 축하 영상을 보내 이목을 끌었다. 두 사람 모두 신당 창당 여부로 주목을 받는다. ‘비법률적 명예회복의 길’을 언급한 조국 전 법무부 장관도 신당을 만들지 관심을 모은다.


 

 무당파에게 신당에 대해 물었다. 신당은 키 플레이어 중심으로 구성될 가능성이 크므로 각 주자의 이름을 넣은 신당으로 투표 의사를 물었다. 〈그림 5〉참조

<그림5>

'2024년 총선에서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가 신당을 차린다면 그 당에 투표하실 의향이 있으십니까?’ 이준석 신당 17%, 조국 신당 8%, 이낙연 신당 17%다.

지지와 투표는 다른 행위다. 기표는 제로섬 게임이다. 양당에 대한 실망감을 뚫고 나갈 만큼의 또렷한 돌풍은 좀 더 지켜봐야 하는 상황인 셈이다. 다만 각 신당에 투표할 의향에 대해 판단을 유보한 층도 있다(이준석 신당 34%, 조국 신당 27%, 이낙연 신당 30%).


 

다시 거대 양당으로 돌아가서 두 정당은 어떻게 변해야 무당파의 마음을 살 수 있을까. 각 당이 이렇게 바뀌면 더 지지하겠느냐는 질문이다.〈그림 6〉참조

<그림6>

 

〈그림 6〉의 국민의힘 관련 세 가지 질문 중 지지 여부가 가장 크게 변한 항목은 ‘극우 세력 포용’이다. 국민의힘 일각에서는 ‘빅텐트’ 차원에서 태극기 세력 같은 극우도 포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덜 지지하겠다는 대답이 눈에 띄게 올라갔다. 47%다. 더 지지하겠다는 응답은 7%에 불과했다. 변화 없다 27%, 모르겠다 19%다.

 

민주당의 현안은 이재명 대표 관련 부분이다. 비명계 정치인을 이재명 대표가 적극 포용하면 지지 여부가 바뀌느냐고 무당파에게 물었다. 더 지지할 것 24%, 덜 지지할 것 14%, 변화 없다 41%, 모르겠다 20%다.
 

 이낙연 전 대표를 비롯해, 이재명 대표의 사퇴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통합 비대위’를 꾸려 이재명 대표가 일선에서 물러난 상태에서 민주당이 총선을 치러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재명 대표가 당대표 자리에서 사퇴하면’ 무당파의 지지 여부는 어떻게 변할까. 더 지지할 것 37%, 덜 지지할 것 13%, 변화 없다 31%, 모르겠다 19%다.

 

공천도 중요하다. 국민의힘에서는 ‘검사 공천’에 대한 얘기가 끊이지 않는다. ‘검사 대통령-검사 비대위원장’ 체제를 구축하고 총선 모드에 들어가는 국민의힘을 바라보는 시각이 담겼다. 이에 대해 물었다. ‘총선에서 검사 공천은 자제되어야 한다’에 무당파 62%가 동의했다.

민주당에서는 세대교체 담론이 이어진다. 이른바 '86 정치인'을 겨냥한다. 대선을 한 달가량 앞둔 2022년 1월25일 당시 송영길 대표는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불출마 선언을 했다. “586 세대가 기득권이 되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있다. 저부터 모든 기득권을 내려놓고 이재명 정부 탄생의 마중물이 되겠다.” 또한 그는 다른 86 정치인들에게도 “지역구 기득권을 내려놓고 젊은 정치인들이 도전할 수 있도록 공간을 열어줘야 한다”라고 당부했다. 무당파 55%는 ‘총선에서 86 정치인 공천은 자제되어야 한다’에 동의했다.



무당파의 특징을 살펴본 국승민 교수는 이렇게 말했다. “한국은 무당층, 즉 스윙보터 층이 탄탄하다. 상대적으로 규모도 크고 적극적으로 왔다 갔다 한다. 핵심 지지층의 양극화는 한국과 미국이 비슷한 면을 띠는데, 스윙보터의 규모와 행태는 한국과 미국이 차이가 난다. 이러한 스윙보터 때문에 한국 민주주의가 미국 민주주의보다 더 건강한 면이 있다. 이들의 움직임에 더욱 주목해야 한다.”

 

기자명: 김은지기자

 

 

 이상 시사IN 신년기획 총선분석 커버스토리 기사를 발췌하였습니다. 

 


 

 개인적으로 우리나라의 무당층이 민주주의를 건강하게 하는 측면이 있다는 기사의 내용에는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현재 윤석렬 대통령이 대선에서 승리할 수 있었던 요인도 무당층의 선택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단순히 스윙보터 역할을 한다고 해서 합리적이고 옳은 결정을 하는 것은 절대로 아닙니다. 오히려 그 과정에서 제한된 정보와 비합리적인 의사결정 과정을 거쳤다면 투표를 하지 않는 것보다 못한 결과를 내기도 하는 것을 지금 우리가 보고 있지 않나요? 우리나라 무당층은 정치의 일상화, 민주시민교육의 부재, 역사인식 부재가 낳은 정치혐오의 사생아입니다. 그들이 지금 윤석렬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또 어떤 심판을 하건 사실 관심 없습니다. 그들이 하는 선택은 그야말로 참을 수 없는 가벼움 그 자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무당층은 정치 혐오자 또는 정치무관심자의 또다른 표현입니다. 자기의 삶에서 중요한 선택을 하는 데 있어서 정치가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그 무가치함을 용감무쌍하게도 무관심으로써  표현해 내는 그  무지를 왜 존중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무지는 배려의 대상이 아니라 비난의 대상이 되었으면 합니다.

도대체... 언제까지...모를건지...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