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 활동기 at home/문해력 기르기

NIE(신문활용교육)-20240116

by 푸른복숭아 2024. 1. 22.
728x90
반응형
SMALL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 포스팅은 지난번에 이어 NIE 활동입니다. 지난번에 밀린 활동을 매일매일 하겠다는 작심삼일을 했었는데, 작심 이일로 우선 마무리 되었습니다. 둘째의 협조가 아쉬운 시점이네요. 저도 체력이 떨어지기도 했구요. 

 

이번주부터 다시 작심삼일 들어갑니다. 

 


 

지난주에는 <어린이 경제 신문> 제 1238호를 가지고 수업을 했습니다. 표지기사 [새해 '김밥'에서 '꼭' 배우자!]를 골라봤습니다. 

 

1단계: 기사를 소리내어 읽습니다.
2단계: 엄마가 기사를 소리내어 읽어줍니다. 이때 모르는 낱말을 체크해 둡니다. 
3단계: 내용에 대해 생각을 주고 받습니다. 이 과정에서 아이가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나 배경 지식을 알려줄 수 있습니다.
4단계: 활동지를 합니다. 
5단계: 칭찬과 마무리

 

 

 

아이들과 읽기 좋은 소재로 재미있는 기사를 썼습니다. 

 

'김밥'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이 이렇게 많네요. ① 다양성 ② 포용력과 조화 ③ 투명성  이라고 하네요. 매우 공감가는 좋은 기사였습니다.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김밥을 소재로 김밥의 장점과 세가지 가치를 연결시킨 것도 충분히 동의가 가는 부분이었어요. 행복과 가치는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늘 내 가까이 있다는 메세지도 생각해 볼 수 있었습니다. 

 

 

방학이라 하루종일 잠옷으로 생활하네요.

 

<어린이 경제신문>에서 제공하는 활동지입니다. 세가지 가치와 김밥의 장점을 연결해서 생각해보고 요즘 핫한 'K-FOOD로 각광받는 김밥의 성공 요인과 연결하여 나만의 K-FOOD를 생각해 보는 활동입니다. 

가장 쉬운 불고기를 골랐네요. 다만 평범한 음식을 골랐다고해서 그 근거나 까닭까지 평범하게 써서는 안됩니다. 아이가 너무나 무난한 음식을 골랐다면 그 이유는 조금 더 생각해서 특별한 내용을 쓰도록 지도할 수 있습니다. 또 특별한 내용이 없다면 논리적인 근거를 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겠죠. 

 

저는 이번에 Chat GPT를 활용해 보았어요. 불고기의 특징에 대해 물어보니 보편적이 답이 돌아오긴 했지만, 이를 활용해 '불고기'가 특별한 이유에 대해서도 정리하도록 했습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