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전체 글100 공부 정서 키우기 2탄 feat. ≪늦기 전에 공부정서를 키워야 합니다≫ 공부 정서 키우기 2탄 시작하겠습니다. 오늘은 중학년 이상 공부 정서 키우기를 중심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앞선 글에서는 초등 저학년까지 공부 정서 키우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부모가 책을 읽어주는 건 초등 저학년까지 효과가 매우 좋고, 미취학 시기 책 읽어주기를 놓쳤다면 초등 저학년부터라도 시도해 보길 권하고 있습니다. '공부 정서 키우기' - feat. ≪늦기 전에 공부 정서를 키워야 합니다≫ 오늘은 '공부 정서'라는 개념과 공부 정서 기르는 법을 이야기 하려고 합니다. 초등 교사가 직접 쓴 책 ≪늦기 전에 공부 정서를 키워야 합니다≫의 내용을 빌려왔어요. 대부분 사람들은 공부가 yoonbooks.tistory.com 하지만 실질적으로 공부를 시작하는 시기인 초등 3~4학년이 되면 이제 부모 마음.. 2023. 11. 2. 종교가 없다면? 분쟁도 없을까? - 팔레스타인 vs 이스라엘 사태 최근 전 세계적으로 뜨거운 이슈는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간 분쟁 사태입니다. 1945년 2차대전 종전 이후 이스라엘이 당시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살고 있던 땅에 자기들 국가를 세우면서부터 발생한 이 사태는 이 동쪽 끝 한반도에 간간이 소개가 되어져 왔습니다. 사실 아무런 맥락이 없어보이는 이스라엘의 영토 점유는 동아시아 끝에 있는데다가 경제적으로 빈곤에 허덕이던 우리나라가 눈여겨보던 이슈는 아니었죠. 다만 모두들 일반 상식에 기대어 이런 이야기를 해왔습니다. "그렇게 따지면 지금 만주땅도 2천년전에는 우리 땅이었는데, 그거 돌려달라고 하는 건 너무한 것 아닌가?" 딱 이정도 관심과 인식인 것 같아요. 속으로는 거기 우리 땅이었는데..라는 아쉬운 마음도 들면서 말이죠. ^^ 여차하면 우리도... 2023년, .. 2023. 11. 1. 초1-독서수업 feat.≪쌀이 말했어≫ 이 책은 곳간 안에 있는 농작물들이 주인공이 되어 살아 있는 듯 독자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형식으로, 우리가 먹는 농작물과 사계절의 변화에 대해 알게 해 주는 책이에요. 70년대 생이고 시골에서 나고 자란 저로서는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체득하던 많은 것들이 이제는 자연스럽게 체득하는 것은 불가능해졌죠. 아이들이 쌀이 쌀나무에서 나는 줄 안다고 한 지는 수십년 된 듯 하네요 ^^. 도시 생활이 익숙하다보니 계절의 변화와 그에 따른 우리 주변의 변화, 우리 일상의 변화를 알아채기가 힘들 것 같아요. 어른들도 바쁜 일상때문에 주변의 변화에 둔감해지는 데 어린 아이들은 어떻겠어요. 그래서 계절이 변화하는 환절기 즈음에는 반드시 계절의 변화와 우리 삶의 모습을 다루는 그림책을 가지고 수업을 한답니다. 뿐만 아니.. 2023. 10. 31. 공부 정서 키우기 1탄 - feat. ≪늦기 전에 공부 정서를 키워야 합니다≫ 오늘은 '공부 정서'라는 개념과 공부 정서 기르는 법을 이야기 하려고 합니다. 초등 교사가 직접 쓴 책 ≪늦기 전에 공부 정서를 키워야 합니다≫의 내용을 빌려왔어요. 대부분 사람들은 공부가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작업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아이들의 마음속을 들여다보면 '공부를 할까 말까'를 결정하는 것은 이성이 아니라 감정이라고 합니다. '공부 정서'란 '배움에 대해 대상이 가지고 있는 감정'을 말하는데 무언가 새로운 것을 배우고 익힐때 좋은 감정을 경험하면 긍정적인 공부 정서로, 그렇지 않았던 경험은 부정적인 공부 정서로 이어지게 되죠. 즉, 처음 공부를 할 때 어떤 감정을 가지고 있느냐가 이후 학습을 지속하는데 큰 영향을 준다는 뜻입니다. 그러니 공부 정서가 높은 -긍정적인- 아이들은 무언가 새로운 것을.. 2023. 10. 27. 갈래별 글쓰기 - 독서 감상문 쓰는 법(훈련1단계) 오늘은 독서감상문의 특징과 쓰기훈련 비법을 가져왔어요.^^ 독 · 서 · 감 · 상 · 문 에서 방점은 독서가 아니라 감상에 찍어야 합니다. 책을 읽고 난 후 독자의 감상/느낌/배운 점 등의 분량이 더 많아야 한다는 거에요. 옛날에는 독후감이라고 불렀죠. 독서감상문 쓰기에서 핵심 내용을 아래 두가지로 정리해 볼게요. 1. 줄거리는 최대한 요약한다. - 전체 분량 10 가운데 2 정도 2. 책을 읽으면서 또는 책 읽은 직후 기억나는 부분과 느낌을 바로 메모해둔다. 이 두 가지가 가장 중요해요. 따라서 좋은 독서감상문을 쓰려면 우선 줄거리를 간추리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왜냐하면 독서훈련이 안되어 있는 경우 책을 읽고 핵심 내용을 뽑아내는 것을 매우 어려워하기 때문이죠. 아이들에게 줄거리를 쓰라고 하면 200.. 2023. 10. 26. 키워드로 공부하는 한국사 1- 선사시대VS역사시대 22년 3, 4학년 수학/사회/과학 교과서를 시작으로 27년까지 전학년의 교과서가 국정에서 검정으로 변화합니다. 라는 말 들어 보셨죠? 22년 기준 3, 4학년의 세 개 교과목이 국정에서 검정으로 바뀌었고, 23년에는 5, 6학년의 세 개 교과서가 바뀌었어요. 한국사는 5학년 2학기 통사 형식으로 나옵니다. 하지만 2022년부터 교과서가 개정되면서 3학년 사회교과에 역사개념이 가볍게 언급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개정 교과에 따라 한국사 교육은 4학년 말에 선행으로 짚고 넘어가는 것이 시기상으로는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되요. 역사 수업을 하다보면 큰 걸림돌이 있습니다. 바로 역사 관련 용어입니다. 요즘은 한국사 열풍이 불면서 좋은 컨텐츠가 쏟아져나오고 있죠. 연령별, 수준별, 독자의 취향, 입맛에 따라 다양한.. 2023. 10. 26. 갈래별 글쓰기 - 일기 쓰기 초등 저학년부터 가장 많이 하는 글쓰기는 바로 일기 쓰기에요. 가장 쓰기 쉽기 때문에 저학년에게도 부담없는 글쓰기이지만, 이상하게도 요즘 아이들은 일기 쓰는 것은 힘들어합니다. 제 생각에는 아무래도 특별한 것이 없다고 생각하고 또 소소한 일상에 작은 돋보기를 대고 가만히 들여다 볼 기회나 시간이 부족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요즘은 아이들도 너무 바쁘잖아요. 잉잉 한우리 수업 시간에 다양한 갈래별 글쓰기 활동을 하기도 하지만 아무래도 수업 시간과 차시의 제약이 많아요. 일기도 한번 쓰는 것이 아니라 많은 연습과 훈련이 있어야 좋은 일기를 쓰는 것인데, 일기 쓰기활동이 12개월 프로그램에 저학년 기준 3번정도 나오는 것 같거든요. 사실 일기는 학교 선생님이 검사해서 '참 잘 했어요' 도장찍어주는게 제일인데.. 2023. 10. 25. 역사 왜 배우나요? 한국사가 정시모집(수능)에서 필수 응시영역이 되면서 한국사 열풍이 불었죠. 아이들이 기본적인 역사교육을 의무교육에서 소화한다는 것은 정말 좋은 일입니다. 그리고 대입이 아니더라도 역사를 공부한다는 것은 사람이 살아가는데 정말 필요한 '덕목'이라고해도 모자라지 않습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라는 어마어마한 말도 있지만, 반드시 민족에게만 한정된 말은 아닌 것 같아요. 개인도 자신의 역사를 잊는다면 매일 같은 실수를 반복할 수 밖에 없겠죠. 우리 ....사실.....만물의 영장 이런거 아니잖아요. 우리 다 알잖아요 그거... 아니라는 거 그러니 올바른 삶의 태도를 배우기 위해서 역사는 산소와 같이 중요한 것이죠. 보통 역사를 배우는 가장 흔한 이유로 '교훈'을 듭니다. 틀린 말은 아니에요. 위.. 2023. 10. 25. 미취학 아동 - [붕붕 꿀약방] - 책놀이 수업 오늘 수업은 수업의 목표를 줄거리 정리하기로 정하고 수업준비를 했어요. 우리 7세 여자친구는 교재를 가지고 딱딱하게 수업 하는 것에 거부감이 많이 있어서 항상 수업준비에 공을 들인답니다. 매주 같은 것을 하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항상 새로운 놀잇거리를 생각하고 있어요. 미취학 아동의 경우 책을 읽고 내용을 순서에 맞게 말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별 것 아닌 것 같지만, 내가 읽은 책, 본 영화 등의 내용을 일어난 순서에 맞게 정리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려운 일이에요. 어른들도 어려워하는 사람들 많구요, 생각보다 맹구되기 쉽습니다. ^^ 하지만 아이들은 어른들과 달리 해보자~ 하면 '싫어요~ ' 하기 때문에 기술이 들어가야 하지요. 기술하니 먼가.. 나쁜 것 같은데 그건 아니고, 아이들의 잠재력을.. 2023. 10. 25. 이전 1 ··· 8 9 10 11 12 다음